지속 가능한 어분분 수확 방법

어분은 건조된 회유성 어류 또는 인간이 섭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어류의 에너지가 강화된 형태입니다. 어분은 제한된 세계적 자원으로, 우리는 매년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일정한 양의 어분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에 있는 바게닝겐 대학교와 연구 센터, 싱가포르의 시옥 미츠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분 회사입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해산물 수요도 어분 회사, 어분 제조업체, 어분 공급업체의 증가 없이 증가했습니다. 1인당 해산물 소비량은 연간 16kg입니다. 해산물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2050년까지 5,000만 톤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Tacon 및 Forster, 2001).

  • 육상 양식은 덴마크에서 상업적 수준에서 시행되는 어업 산업의 현대 기술입니다. 2009년 덴마크는 위에 언급된 어분 수확 방법을 통해 32,100톤의 송어를 생산했습니다. 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양식장은 목표 수치보다 많은 물고기를 생산했고, 생산량을 강제로 줄여야 했습니다. “청정 생산”이라는 이 기술의 일부는 많은 국가에 영감을 주었고, 현재 많은 어분 제조업체와 어분 공급업체가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어분 제조 시스템은 난방 목적으로 대량의 화석 연료(천연 가스 또는 중유)가 필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는 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과도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분 제조 공정을 깨끗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 연구자들은 과도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재배에 사용되어 어분 생산의 부정적인 영향, 환경 오염을 줄이고 미세조류 재배 비용을 절감합니다.
  • 지속 가능한 어분 수출 방법의 경우 어분 제조업체와 어분 공급업체 모두를 위한 몇 가지 법률과 제한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덴마크 어분 수출 재단인 “공통 어업 정책 재단”(CFPF)은 지속 가능한 어분 수확 방법과 국가 자원 정책을 활용하기 위한 여러 규칙과 규정을 공식화했습니다. 이러한 규칙과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어분 회사, 어분 제조업체, 어분 공급업체 및 어분 수출업체에 대한 라이센스.
      2. TAC(총 허용 어획량),
      3. 산출량 제어,
      4. ITQ(개별 무역 할당량)는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산출량을 제한하기 위해 지방 정부가 국내 재배자에게 부과하는 수입 계약입니다.
      5. 안전한 시즌: 어분 회사가 산란 또는 이동 기간 동안 어류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수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6. 철저하고 세부적인 그물 구성.
      7. 특정 지역에서 특정 어구(빔 트롤, 지갑 세인) 사용 제한.
      8. 어분 제조업체 및 어분 수출업체에 대한 엔진 및 선박 크기 제한.
      9. 바다에서 보내는 날과 폐쇄 구역.
      10. 레크리에이션과 상업적 어업의 균형.
      11. 야생 개체군 보존.
      12. 환경 친화적 재순환 시스템.
  • 해양 양식업에서 해양 포유류 개체군은 먹이를 찾아 해양 양식업과 상호작용을 시도하고 해양 양식업 작업 장비와 관련된 기어에 얽혀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영향을 받습니다. 해양 포유류를 양식업 둥지에서 멀리 떨어뜨리기 위해 폭죽, 억제 장치, 포식자 그물, 포식자 소리, 음향 괴롭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장벽과 괴롭힘 기술이 사용되었지만 해양 포유류는 이를 무시하는 법을 배웁니다. 그러나 해양 포유류를 해양 양식업에서 멀리 떨어뜨리는 마지막이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치명적 또는 비치명적 제거입니다. 두 가지 제거 방법 모두 적절한 규제 기관의 적절한 허가가 필요합니다.
  • 어분은 “확인되지 않은 성장원”이라고 합니다. 단백질, 아미노산, 다중불포화 지방산, 그리고 많은 미네랄과 비타민이 들어 있다는 사실이 연구되었지만, 돼지와 가금류 산업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어분의 주요 성분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어분 공급업체가 어분을 생산하고 준비하기 위해 잡은 물고기는 식용어가 아닌 “산업용 물고기”로 불립니다. 연간 산업용 어획량(FAO에 따르면)은 1,900만 톤에서 2,800만 톤입니다.
  • 어분 제조를 위해 수확한 물고기가 들어 있는 어류의 재고를 어업 시즌 전, 어업 시즌 중, 어업 시즌 말에 철저히 모니터링하여 재고의 강도와 회복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어분 수출업체 “일본 정어리 재고 붕괴 1938″은 이전 연도의 어분이 어업에 사용할 만큼 충분히 숙성될 때까지 수년간 약한 연도의 어획량에서 풍부한 정어리를 생산했습니다.
참고문헌:

Hardy, R. W., & Tacon, A. G. (2002). Fish meal: historical uses, production trends and future outlook for sustainable supplies. Responsible marine aquaculture, 311-325.

Olsen, R. L., & Hasan, M. R. (2012). A limited supply of fishmeal: Impact on future increases in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27(2), 120-128.

Salin, K.R., Arun, V.V., Nair, C.M. and Tidwell, J.H., 2018. Sustainable aquafeed. In Sustainable Aquaculture (pp. 123-151). Springer, Cham.

Shah, Mahfuzur Rahman, Giovanni Antonio Lutzu, Asraful Alam, Pallab Sarker, MA Kabir Chowdhury, Ali Parsaeimehr, Yuanmei Liang, and Maurycy Daroch. “Microalgae in aquafeeds for a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30, no. 1 (2018): 197-213.

Malcorps, W., Kok, B., van‘t Land, M., Fritz, M., van Doren, D., Servin, K., … & Davies, S. J. (2019). The sustainability conundrum of fishmeal substitution by plant ingredients in shrimp feeds. Sustainability11(4), 1212.

Byelashov, O. A., & Griffin, M. E. (2014). Fish in, fish out: Perception of sustainability and contribution to public health. Fisheries39(11), 531-535.